국내 트렌드
1. 타투 합법화 논의 본격화
- 보건복지부가 의료법 개정을 추진하면서 타투를 합법화하는 방향이 공식적으로 논의됨.
- 그동안 ‘불법 시술’이라는 딱지가 붙었던 타투가 합법적 미용·예술 산업으로 편입될 가능성이 커짐.
- 관련 종사자 단체들은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는 가운데, 안전성 관리 체계와 교육 자격 제도가 어떻게 정립될지가 관건.
2. ‘디지털 피로’와 MZ세대의 탈SNS 움직임
- 국내에서도 디지털 디톡스·SNS 휴식 선언이 늘고 있음.
- 인스타그램, 틱톡 등에서 ‘로그아웃 챌린지’가 번지며, “SNS 안 쓰는 게 오히려 힙하다”는 새로운 인식이 퍼짐.
- 플랫폼 의존도가 높은 MZ세대 사이에서 ‘접속하지 않는 자유’가 라이프스타일 트렌드로 부상.
3. 라이브커머스 신뢰 위기
- 유명 인플루언서가 진행한 라이브커머스에서 허위 과장 광고가 드러나며 논란 발생.
- 방송통신심의위가 제재에 나섰고, 소비자들은 “검증되지 않은 쇼핑은 피한다”는 분위기.
- 브랜드 입장에서는 “빠른 판매”보다 투명성과 신뢰 확보가 더 중요한 화두가 됨.
글로벌 트렌드
1. #RaptureTok 종말 밈 재점화
- 틱톡에서 “9월 23일 종말 예언” 밈이 확산됨.
- 자동차 팔기, 퇴사 선언, 유서 남기기 같은 극단적 행동을 패러디하며 집단적 불안을 놀이화하는 흐름.
- 불안한 사회 분위기를 ‘콘텐츠 놀이터’로 전환하는 전형적인 글로벌 SNS 문화 현상.

2. ‘6-7’ 밈 확산
- 단순한 숫자 조합이지만 리듬감 있는 표현 덕에 숏폼에서 크게 퍼진 밈.
- 스포츠, 음악, 패션 등 다양한 분야 콘텐츠와 결합되며 세대별 공용 유머 코드로 자리잡음.
- 숫자가 밈이 되는 사례는 밈 생태계의 확장성을 보여줌.
3. 소셜 리스닝 기반 브랜드 전략 강화
- 글로벌 브랜드들이 밈과 챌린지를 단순히 따라 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사용자 반응(소셜 리스닝)을 데이터로 분석하는 단계로 진화.
- Hootsuite 등의 보고서에 따르면 밈은 이제 광고·마케팅 기획의 초기 설계 요소로 활용됨.
- 단기 유행을 넘어서 ‘밈 기반 브랜딩’이 하나의 트렌드로 정착 중.
국내 vs 글로벌 연결 포인트
- 타투 합법화 논의 ↔ 글로벌 밈 문화
모두 ‘금기·불안’을 새로운 문화 자원으로 전환하는 흐름. 한국에선 불법이던 타투가 예술로 재정의되고, 글로벌에선 종말 불안이 밈으로 소비됨. - 디지털 피로 ↔ 6-7 밈
한국의 SNS 탈피 움직임은 피로감의 발현이고, 글로벌의 밈 확산은 여전히 ‘짧고 가벼운 즐거움’ 추구. 양극단의 현상이지만 같은 플랫폼 피로에서 비롯됨. - 라이브커머스 신뢰 위기 ↔ 브랜드 소셜 리스닝
국내에선 신뢰 결여가 위기지만, 글로벌에선 이를 데이터 분석으로 극복하려는 움직임이 두드러짐.
마무리
9월 4째주, 국내와 글로벌 모두에서 “불안과 피로를 어떻게 다루는가”가 핵심 키워드였어요.
한국은 제도와 생활 습관에서 새로운 균형점을 찾고 있고, 글로벌은 밈과 데이터로 불안을 소비하고 분석합니다.
결국 사람들은 같은 불안을 느끼지만, 해소 방식은 문화권마다 다른 색을 띠고 있네요.